[취직/이직꿀팁] 기업들 연봉 정보를 쉽게 알아보자 / 괜찮은 회사인지 알아보자

 ** 상당히 주관적인 글입니다. 반박시 내가 맞음/옳음(correct, right) 

취직할 때 가장 알고 싶은 정보가 아마 연봉일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채용 단계 제일 마지막까지 가서야 연봉을 공개합니다. 제 생각에 이러한 방식은 지원자나 기업의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한다고 봅니다.  최종단계까지 가려고 여러 면접과 과제와 테스트를 거쳤는데 제일 마지막에서 연봉이 안 맞으면 지원자의 시간과 에너지가 낭비됩니다. 회사도 여러 직원들이 면접을 보고 과제나 테스트를 평가하고 같이 일하고 싶은 마음에 드는 지원자가 나타났는데 마지막에 연봉의 갭이 커서 그만둔다고 하면 이 과정을 다시 수십 번 반복해야 합니다.  기업이 투명하고 솔직하면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경험해 보니 외국 회사들은 첫 면접에서 연봉 테이블을 알려주는 깔끔한 회사도 있었습니다.  참고로 외국 IT 회사 면접 관련 글들은 제 블로그에서 "미국IT회사 취업" label(라벨, 레이블)로 검색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기업들이 연봉 정보를 제일 마지막에 공개하는 이유들은 당연히 있겠지만 일단 지원자 입장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아끼면 좋습니다. 그래서 연봉 및 중요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연봉 자료는 금감원,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의 자료로 계산을 한 값이기때문에 꽤 정확하다고 봅니다. 회사들이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이나 고용보험을 내는데 이를 토대로 계산을 합니다. 그리고 인공지능으로 직급별 예상 연봉을 계산하는 방식 같습니다. 

TL;DR - 아래 사이트에서 연봉 정보 및 기업의 여러가지를 확인할 수 있다. 


42만 기업의 연봉 정보들이 있다고 하네요. 여기 검색안되는 회사는 웬만하면... 

그럼 제가 한 번 직접 사용해보겠습니다.



  • 검색하고자 하는 기업명 입력 ㄱㄱ
크레딧잡에서 연봉 정보 알아보자



  • 시가총액 1위 기업 삼성전자를 검색해보았습니다.  연봉상위 1% 이고 금감원 자료로 보니 예상평균연봉은 11,416만원 (1억 1416만원)이네요. 
기업 연봉 정보 쉽게 알아보는 법



  • 연봉출처를 다른 것으로 선택하면 예상평균연봉이 크게 바뀌는 경우도 있습니다. 데이터가 다르면 값도 다른 건 당연한겁니다.  신뢰할만한 자료들이지만 차이가 너무 크면 대충 평균 값으로 생각하세요. 신뢰할만한 데이터인데 왜 값이 다르냐고요? 그건 국민연금공단, 고용보험공단, 금감원에 문의하세요. 그래도 영끌한 연봉으로 허세부리는 블라인드나 '지인에 지인이 다니는데 그렇다더라' 이런데 보다는 더 정확하지 않을까요? ㅎㅎ
* 제 개인적인 추측은 PS, PI 포함 여부가 아닐까 하네요. 아님 말고

기업 연봉 정보 쉽게 알아보는 법



  • 직급별 연봉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삼전을 예로 보면 대학원졸은 평균 5,329만원을 받네요. 석사/박사 연구원들이 보통 많을 것 같네요.  인생/시간/건강/에너지를 갈아 넣어 사다리 타고 열심히 올라가서 부장이 되면 약 1억을 받게 되네요. 참고만 하세요. 부서마다 다를 것이고 개인마다 다를 것입니다. 일 잘하는 사람과 일 못하는 사람의 연봉이 같으면 누가 열심히 일할까요?  일 잘하는 부서에 일 잘하는 사람이 연봉 많이 받는 건 죄도 아니고 당연한 것입니다. 열심히 일한 당신 홧팅! 
AI가 예측한 직급별 예상 평균 연봉



  • 제가 실제 중소기업 자료로 예를 들고 싶지만 그냥 팁만 살짝 적습니다. 제가 강자는 까고 약자는 봐줍니다.  아래는 다른 비슷한 사이트입니다. 여기에는 매달 입사자 퇴사자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퇴사자가 연속으로 많이 발생한다면 이는 회사가 맛이 가기 시작한 것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더 나은 회사가 되기 위에 썩은 가지나 잎들을 제거하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입사율과 퇴사율은 취직시 확인해볼만한 좋은 지표입니다.  입사율이 가파르게 오르는 기업은 성장/확장 중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하지만 입사율은 그대로인데 퇴사율만 왕창 나온다면 이제 터질 게 터진겁니다. 가라앉는 배에 타진 마세유. 4대 보험 등의 객관적인 자료들이기 때문에 기업에서 구라칠 수 없는 자료들입니다. 회사가 아니라고 잡아떼면 그건 구라 잘 까는 회사니 당장 나오십쇼.  
오픈샐러리 : https://www.opensalary.com/

오픈샐러리



* 지극히 개인적인 또 다른 팁.  IT 중소기업의 경우 직원수가 20명인데 매출이 20억이면 나름 괜찮습니다. 매출액이 직원 1인 기준 1억 정도 나오면 회사가 많이 쪼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직원수 20명인데 매출이 10억인 회사를 가면 회사가 힘들기 때문에 '회사가 힘드니  불합리해도 니가 참고해라' 이 논리를 계속해서 듣게 됩니다. 매출 정보가 없는 회사는 대부분 아직 많이 힘든 시기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시각에서 보면 인생에서 좋은 경험을 하고 성장하는 시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어려운 시기를 같이 하고 나중에 회사가 잘 될 때 챙겨줄 수도 있습니다. 물론 아닌 회사도 있겠지만요. 인생에 운빨이 중요하다는 건 다들 아시죠? 뿌린대로 거두는 인생이라고 하니 착한 일 많이해서 좋은 직장, 좋은 동료 만나세요. 

** 그리고 혹시 기분 많이 나쁘신 분 있을까봐 덧붙이면, 제가 제일 재밌게 일했을 때가 중소기업에서 하루 12시간 이상 일할 때 였습니다. 나중에 거기보다 연봉 2배에 RSU 대박  + 무제한 휴가 (unlimited PTO - paid time off) 인 곳 가봤지만 재미 없어서 나왔슴다. 사람마다 가치관, 인생 우선 순위 이런게 다 다르잖아요. 경험해보니 저는 제 우선 순위가 연봉이나 기업규모가 아니더라구요. 좋은데 안좋은데 다 가봤고, 해볼꺼 안해볼꺼 다해보고 쓰는 글입니다요. (경우에 따라서 직설적이고 솔직한 글을 쓰는 게 더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더군요. 9명을 빡치게 하더라도 한마리 길 잃은 양을 구할 수 있다면야 저는 기꺼이!!!) 

*** 저의 black/dark comedy 요소를 이해바랍니다~  

- The End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