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에 미니큐브(minikube) 설치하기 & 트러블 슈팅 가이드

 미니큐브(minikube)는 개발 테스트용 쿠버네티스 환경을 쉽게 만들어 줍니다. 미니큐브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간단하게 쿠버네티스가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겠습니다. 

미니큐브 설치시 자주 막히는 부분을 해결하는 방법도 다룹니다. 저는 리눅스 데비안 10에서 테스트하겠습니다. 미니큐브 설치 전 Docker를 먼저 설치하셔야 합니다.


  • 본인의 리눅스 환경에 맞는 설치 방법을 찾습니다. 
          https://minikube.sigs.k8s.io/docs/start/
미니큐브(minikube) 설치하기


  • 미니큐브를 설치합니다. 
미니큐브(minikube) 설치하기


  • minikube start 명령어를 실행하여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를 만듭니다. 
minikube start

## Docker 가 설치되지 않으면 실행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뜹니다. Docker 말고 다른 컨테이너나 가상환경도 사용 가능합니다.
미니큐브 설치 트러블 슈팅 가이드

## Docker 권한 때문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뜨면 sudo usermod -aG docker <본인계정> && newgrp docker 를 실행해줍니다.  보통 이 부분 때문에 대부분 막힙니다. 
minikube installation trouble shooting
권한 에러가 나면

minikube installation trouble shooting
docker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자


  • minikube version 명령어를 실행해 봅니다. 
minikube version


  • kubectl 이 설치 되지 않았지만 minikube kubectl 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이 불편하니 kubectl 을 따로 설치하면 편리합니다. minikube kubectl -- get pods -A 를 실행합니다.

minikube kubectl 명령어

## 혹시 클러스터를 못 찾는다는 에러가 뜨면 minikube start 를 다시 실행합니다. 
minikube installation trouble shooting


  • 쿠버네티스 환경이 잘 구성되었고 잘 돌아가는지 테스트해보겠습니다.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를 생성하겠습니다. kubectl create deployment minikube-test --image=nginx:latest 를 실행하고 kubectl get deployment 로 확인합시다. (참고로 전 kubectl 깔았습니다.)
미니큐브 환경 테스트

# 당연히 kubectl 말고 minikube kubectl 로도 가능합니다. 
미니큐브 환경 테스트

그럼 미니큐브로 쿠버네티스 열심히 공부하십쇼~~
- The End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