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폼(Terraform)으로 인프라 수정하고 삭제하기

 지난 번에 테라폼(Terraform)으로 인프라를 생성했으니 이번에는 테라폼으로 인프라를 수정하고 삭제해보겠습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지난 시간에 배운 것처럼 테라폼으로 vm을 하나 만들어봅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클라우드 콘솔에서 n1-standard-1 (1 vCPU, 3.75 GB memory) 머신타입으로 생성된 VM을 확인합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테라폼으로 배포한 인프라를 수정하겠습니다.  vm의 머신타입을 n1-standard-2 로 변경할 것입니다. tf 파일을 열고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 머신타입을 n1-standard-1 에서 n1-standard-2 로 수정하였습니다. allow_stopping_for_update = true 를 넣어주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유는 vm이 실행중이기 때문에 머신타입을 변경하려고 하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업데이트 하기 위해 vm을 멈추게 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desired_status = "RUNNING" 아규먼트(argument)를 추가해야 합니다. 아니면 머신타입 변경 후 vm이 정지된 상태로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원하는 상태는 실행중이야'라고 친절히 알려주면 됩니다.  

  • terraform apply 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 추가된 항목은 초록색 + 기호로 그리고 수정되는 부분은 ~- > 로 표시해 줍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아래 이미지처럼 1 to change 라고 표시됩니다. 지난 시간에 vm 3개를 만들려고 했기 때문에 3 to add라고 표시되었습니다. yes 를 입력합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성공적으로 변경되었다는 메세지를 확인합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클라우드 콘솔에서 머신타입이 n1-standard-2 (2 vCPUs, 7.5 GB memeroy) 로 변경되었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자 그럼 인프라를 생성해보았고 변경도 해보았으니 삭제를 해보도록 합시다. terraform destroy 명령어를 실행하면 테라폼이 관리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를 다 파!괴! 시켜버립니다.  ㄱㄱ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쫄지말고 yes 를 칩니다.  (이번엔 1 to destroy 로 표시됩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잘 파괴했다는 메세지를 확인합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클라우드 콘솔에도 확인사살합니다.  vm이 없어진 게 보입니다. 
테라폼(Terraform)  사용하여 인프라 수정 및 삭제

- The End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