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릭비트(Metricbeat) 설치하고 사용하기 (메트릭비트로 수집, 엘라스틱서치에 저장, 키바나로 시각화)

리눅스 우분투(Ubuntu)에서 apt-get 패키지 매니저로 메트릭비트(Metricbeat)를 설치해 사용해 보겠습니다.  메트릭비트로 수집한 데이터를 엘라스틱서치(ES)로 보낸 뒤 키바나(Kibana)에서 시각화하겠습니다.  데이터 수집, 저장, 시각화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게 되는 데 엘라스틱서치와 키바나 설치 및 사용은 예전 글에서 많이 다루었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 제 블로그 Labels 에서 Elastic Stack 을 선택하시면 관련 글들을 쉽게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 메트릭비트를 설치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공식 문서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https://www.elastic.co/guide/en/beats/metricbeat/7.10/index.html

* 엘라스틱서치를 먼저 설치하시고, 그 다음 키바나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메트릭비트를 설치하는데 엘라스틱이나 키바나 설치시에 Public Signing Key를 받았고, apt-transport-https 패키지를 설치하셨고, repository definition을 저장하셨기 때문에 아래 명령어를 바로 실행하시면 됩니다. 만약 잘 안되시면 문서대로 사전에 필요한 것들을 해주셔야 합니다. 

  • 메트릭비트 설치는 아주 간단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metricbeat

* metricbeat.yml 파일을 굳이 수정하지 않고 default로 사용하겠습니다.  

  • 원하시는 메트릭 수집 모듈을 활성화(enable) 하실 수 있고, 비활성화 하실 수 있습니다. metricbeat modules enable <원하는 모듈>
* 비활성화는 metricbeat modules disable <모듈 이름>
** 첫 테스트시면 일단 default 로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어떤 모듈은 추가 설정을 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서 metricbeat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편합니다. 인덱스나 대시보드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로드해  줍니다.  sudo metricbeat setup -e

  • 메트릭비트를 실행합니다. 저는 systemd 라 sudo systemctl start metricbeat 
* 혹시 Metricbeat가 동작을 하지 않으면 sudo systemctl status metricbeat 이나 journalctl -fu metricbeat.service 로 로그를 보고 구글링을 해서 트러블슈팅하면 됩니다! 굿럭!!!  구글링은 필연입니다. 

  • Kibana > Discover 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 View single document를 클릭해 메트릭 데이터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Stack Management > Index Management 에서 metricbeat-*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ashboards로 가시면 아까 setup 을 통해 생성된 여러 대시보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중 Host overview ECS를 보시면 메트릭비트를 설치한 시스템의 CPU, 메모리, 트래픽, 시스템로드, 프로세스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 END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