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와 키바나(Kibana)의 설치 및 사용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오늘은 시스템과 서비스에서 로그와 메트릭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해 엘라스틱서치(ES)로 보내는 비츠(Beats) {메트릭비트, 파일비트, 패킷비트} 를 소개하겠습니다.
ELK 나 ELK Stack이라고 알려진 제품들이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입니다. 가끔 ELKK라고 해서 여기다 Kafka를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지금은 ELK 스택이라고 부르기보다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ELK 스택이 진화해서 Elastic 스택이 된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엘라스틱 스택에서 데이터 수집을 담당하는 제품이 비츠(Beats)입니다. (여러 종류의 비트들을 모아 복수로 비츠(Beats)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출처 : elastic.co 공식 페이지 |
 |
출처 : elastic.co 공식 페이지 |
- 쉽게 그림으로 표현하면 비트(beat)로 데이터를 수집해 엘라스틱 서치에 저장한 후 키바나로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 엘라스틱 스택 제품만을 사용해 모니터링 파이프라인과 같은 것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이건 내가 만듬. 훗! |
- 가끔 아래와 같이 엘라스틱서치로 보내기 전에 로그스태쉬(Logstash)로 보내서 데이터를 필터/가공 할 수도 있습니다. Logstash는 쉽게 말해 ETL 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Beats 의 역할을 알았으니 그 종류에 대해 알아봅시다. 현재 7의 Beats 제품들이 있고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 이 중에서 Filebeat, Metricbeat, Packetbeat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
출처 : elastic.co 공식 페이지 |
* 엘라스틱의 SIEM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제품도 비트(Beats)를 사용해 정보를 수집합니다.
- END -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