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프로페셔널 클라우드 아키텍트 자격증 대비 교육자료 (3편) [GOOGLE PROFESSIONAL CLOUD ARCHITECT]
구글 클라우드 자격증 중 하나인 Google Cloud Certified - Professional Cloud Architect 를 취득하였습니다. 공부 자료가 많지 않고 전부 영어로 되어 있어서 클라우드 아키텍트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고자 준비해보았습니다.
관련 내용 :
- A company wants to build an application to store images in a Cloud Storage bucket and want to generate thumbnails. They want to use managed service which will help them scale automatically from zero to scale and back to zero. Which GCP service satasfies the requirement?
A. Google Compute Engine
B. Google Kubernetes Engine
C. Google App Engine
D. Cloud Functions
클라우드 스토리지 버켓에 이미지를 저장하고 썸네일을 만드는 앱을 만들고자 하는데, 구글에서 관리하는(managed) 서비스 중 수요에 따라 0에서 자동으로 스케일 아웃 했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 다시 0으로 돌아가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입니다.
핵심 키워드는 zero 입니다. from zero, 0에서 부터, to zero, 다시 0으로 돌아가는 서비스는 Cloud functions입니다. serverless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따로 vm 같은 서버를 직접 만들지 않아도 되고, 어떤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 되기 때문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0 상태입니다. 갑자기 이벤트가 많이 발생하면 이벤트 수요에 따라 자동 스케일 아웃하고 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수요를 감당하던 자원은 사라집니다. infrastructure를 직접 provision(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serverless라고 불립니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적으로 모든 것을 구글측이 관리합니다. 이벤트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resource가 만들어집니다. 아주 쉽게 말해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가 동작할때만 서버가 생기고, 수요에 따라 서버의 크기가 자동으로 늘어났다 줄어듭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땐 자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할 일은 UI에서 코드만 넣어주면 됩니다.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Cloud Functions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만듭니다. 간단한 설정과 코드를 삽입해서 생성합니다.
![]() |
Cloud Functions |
![]() |
Code 삽입 |
![]() |
코드 샘플 |
![]() |
런타임(Runtime) 환경 |
위의 내용을 잘 이해하셨다면 아래 문제는 아주 쉬우실 겁니다.
- You are designing an application for use only during business hours. For the minimum viable product release, you’d like to use a managed product that automatically "scales to zero" so you don’t incur costs when there is no activity. Which primary compute resource should you choose?
A. Compute Engine
B. Cloud Functions
C. Kubernetes Engine
D. AppEngine flexible environment
업무 시간때만 동작하는 앱을 만드는데, 관리가 쉬우면서 자동으로 0으로 스케일되는 (scales to zero) 제품을 쓰고 싶다. 사용 안할때는 돈 안들게. 어떤 컴퓨팅 자원을 쓸까? 라는 질문이고 정답은 당연히 Cloud Functions 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